먼저, 자의적인 판단은 NO🙅♀️!
구체적인 위반 내용과 객관적인 증거에 기반하는 것이 중요해요.
그리고 신중하게 접근하기 위해 신뢰할 만한 동료에게 자문할 수도 있어요. 단, 제보 대상이 될 수 있는 사람과는 직접 충돌하거나 감정적 대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해요. 아래 단계에 따라 차근차근 정리하고 수집하세요.
1단계: 사실관계 정리
✅의심스러운 정황(위조, 변조, 표절, 부당한 저자표기, 부당한 중복게재 등)과 어떤 부분이 부정행위로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메모
✅ 오해나 단순 실수가 아닌지 최대한 객관적으로 판단하고, 확실하지 않은 의혹인 경우 단정적인 표현을 피함
2단계: 관련 증거 수집
✅ 관련 데이터를 확인하거나, 이메일, 연구노트, 미공개 문서 등 가능한 증빙자료 수집(개인정보 보호 및 사생활 침해 유의)
✅ 조작·변조된 흔적이 있는지, 연구기록이 부실하게 관리된 것은 아닌지 확인
제보하는 방법은요⁉️
소속기관의 연구진실성위원회(또는 산학협력단, 연구처, 감사실 등)에 구술, 서면, 전화, 전자우편 등을 통해 실명으로 제보하는 것이 원칙이에요. 혹시 이 과정에서 제보한 내 신분이 노출될까 봐, 피조사자와 대면할까 봐 걱정되나요? 걱정하지 마세요!😎
제보자는 관련 법령(공익신고자 보호법) 및 관련 기관(국민권익위원회)에 따라 의견진술, 이의제기, 변론 등의 권리는 물론 익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니까요. |